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인터뷰

초고령사회 성형외과 현주소는? '항노화' 정조준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인앤인성형외과 의원은 줄기세포를 활용한 항노화, 노화 완화를 표방하며 개원식을 가졌다.2025년으로 예상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성형외과도 변신을 도모하고 있다. 주 타겟층이 20~30대, 미용에 집중됐던 것과 달리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한 항노화(anti-aging) 및 노화 완화(De-aging)를 앞세워 노년층을 목표군으로 바꾼 것.특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축적되는 노화세포가 다양한 증상, 질병들의 원인이라는 인식이 대두되면서 '노화는 질병'이라는 개념까지 등장한 것도 이런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한다.실제 항노화를 통해 노화로 유발되는 각종 질환을 늦추거나 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안티에이징은 더 이상 미용 목적으로만 바라볼 대상이 아니라는 것.12일 삼성중앙역에 위치한 인앤인성형외과 의원이 줄기세포를 활용한 항노화, 노화 완화를 표방하며 개원식을 가졌다.문주영 원장은 항노화와 노화 완화를 앞세워 노년층을 주요 타겟층으로 설정했다."건강하고 젊게 멋지게 다시 태어나자", "노화는 되돌릴 수 있다"를 슬로건으로 내건 만큼 주요 타겟층도 노령층으로 설정했다. 항노화를 전면에 내건 건 최근 수년 새 줄기세포가 대중화된 데다가 기술 역시 고도화되면서 임상적으로 유용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판단 때문이다.문주혁 원장은 "줄기세포 시술이 대중화되면서 많이들 하게됐다"며 "줄기세포는 지방이나 골수에서도 뽑기도 하고 피에서도 얻을 수 있는데 본원에서는 주로 지방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를 활용한다"고 밝혔다.그는 "지방에서 채취한 줄기세포들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면서도 많은 양을 더 채취를 할 수가 있고 성장도 촉진한다"며 "특히 엑소좀이라는 면역 조절하는 성분들도 있어서 조직 재생이나 면역 문제로 발생하는 아토피, 위염과 같은 질환에서도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줄기세포 시술이라고 해도 분리 및 배양 기술에 따라 효과 차이가 발생하고 기술력이 뒷받침되면 회복이 빠르고 혈액 공급이 더 원활할 수 있다"며 "그런 의미에서 재생의료 치료제와 치료기술을 연구개발하는 우수한 기술력의 A사와 협업 관계를 갖췄다"고 말했다.통상 65세 이상 연령층이 총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할 때 초고령사회라 부른다. 한국의 초고령사회 진입은 이르면 2024년 말로 추산된다. 노령층 증가로 인해 나이와 관련된 각종 질환의 발생도 덩달아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날 개원식에 참석한 ABMD(주) 강윤정 대표는 "하버드의대 데이비드 싱클레어 교수는 노화생물학자로 잘 알려져있다"며 "노화하는 이유와 그 효과를 늦추는 방법을 연구하고 동물모델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내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고 설명했다.그는 "이런 연구들이 축적되면 노화 역전은 멀지 않은 미래가 될 것"이라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축적되는 노화세포는 결국 치매, 암, 신경질환, 심혈관질환, 자가면역질환, 당뇨병, 근골격질환, 신경질환 등 다양한 증상, 질병들을 초래한다는 점에서 노화 자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는 "2017년 연구에서 노화나 질병 중 무엇을 타겟으로 하는 것이 건강한 삶에 더 유리한지 밝힌 바 있다"며 "단일 질병들에 대한 총 합계와 질병 발병률을 개선했을 때 값을 비교한 결과 노화 자체를 지연시키는 것이 다양한 질병을 각각 해결하는 것보다 가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고 강조했다.인앤인성형외과는 서로 효과적인 시너지를 내도록 국내 최초로 신의료기술에 등록된 SVF 세포치료술을 적극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SVF는 손 부위 전신경화증에서 피부섬유화 점수를 12주째에 급격히 감소시키고 24주까지 지속시키거나 흉터개선, 수족지궤양 혈관재생에서도 효과를 나타낸 바 있다.
2023-10-13 12:36:11병·의원

소아암 발생시 골절위험 증가...골밀도 검사 필요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청소년 소아암 발생 시 골절 위험이 상승한다는 새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부분의 진료 지침이 소아암을 골다공증 위험인자로 인식하지 못하다는 점에서 소아암 환자의 골밀도 검사 강화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진의 판단이다.네덜란드 프린세스 막시마 소아종양학센터 마르타 피오코 등 연구진이 진행한 소아암 생존자에서의 골다공증 발생 비율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란셋에 10일 게재됐다(doi.org/10.1016/S2213-8587(22)00286-8).저체중증, 성장호르몬 결핍, 갑상선 장애, 비타민 D 결핍, 낮은 신체 활동 등 현재 연구에서 확인된 낮은 골밀도(BMD)와 골절의 위험 요소들은 주로 내분비학자에 의해 진단되거나 관리된다.자료사진국제 소아암 가이드라인이 암 생존자에 대한 칼슘, 비타민 보충을 포함한 내분비 장애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을 권고한 것에 착안, 연구진은 소아암 발생 이후 골절 위험이 상승하는지 분석에 착수했다.진단 후 최소 5년 이상 생존한 18~45세 네덜란드 소아암 생존자들의 코호트 데이터(DCCSS LATER)를 통해 DXA(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를 통한 BMD 및 자가 보고 골절 비율을 평가했다.BMD 낮은 점수(Z 스코어 –1 이하) 또는 매우 낮은 점수(Z 스코어 –2 이하)와 골절 및 척추 골절의 발생, 치료 관련 내분비 및 생활 방식 관련 요인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했다.총 1548명을 분석한 결과 559명(36.1%)이 모든 부위에서 낮은 BMD를 보였고, 149명(9.6%)은 모든 부위에서 매우 낮은 BMD를 보였다.첫 번째 골절의 발생률은 남성 참가자의 경우 3.53, 여성 참가자의 경우 5.35이었고 249명의 참가자 중 33명(13.3%)이 척추 골절이 있었다.남성, 저체중, 높은 카보플라틴 용량, 모든 용량의 두개골 방사선 요법, 성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낮은 신체 활동 및 심각한 비타민 D 결핍은 모든 부위에서 낮은 BMD와 관련이 있었고 남성, 저체중, 두개골 방사선 요법, 성장 호르몬 결핍 및 심각한 비타민 D 결핍은 모든 부위에서 매우 낮은 BMD와 관련이 있었다.또한 남성, 이전 및 현재 흡연, 매우 낮은 요추 BMD가 모든 골절과 관련이 있는 반면 고령, 이전 백금 화합물 치료, 성장 호르몬 결핍 및 낮은 신체 활동은 특히 척추 골절과 관련이 있었다.고용량 카보플라틴, 모든 용량의 두개골 방사선 요법, 성선기능저하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낮은 신체 활동 및 심각한 비타민 D 결핍은 모든 부위에서 낮은 BMD와 관련이 있었고 남성, 저체중, 두개골 방사선 요법, 성장 호르몬 결핍 및 심각한 비타민 D 결핍은 모든 부위에서 낮은 BMD와 관련이 있었다.연구진은 "소아암 생존자는 첫 번째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며 "매우 낮은 요추 BMD는 골절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두개골, 두개척수 또는 전신 방사선 치료를 받은 고위험 생존자에 대한 능동적 BMD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이어 "이번 분석 결과는 내분비 장애와 비타민 결핍에 대한 집중적인 감시와 적시 개입이 소아암 생존자의 뼈 건강을 개선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며 "대부분 소아암을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로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최신 지침에서 이런 인식 전환 필요성이 환기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022-12-28 14:04:46학술

'칼슘·마그네슘 복합제' 골밀도 향상…대체요법 주목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칼슘과 마그네슘의 복합제인 'Ionized Cal/MagTM Complex'가 골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이는 골다공증 약에 의존하지 않고 칼슘‧마그네슘 복합제로 골다공증을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주목을 받고 있다.가톨릭의대 비뇨의학과 김세웅 교수.가톨릭의대 비뇨의학과 김세웅 교수팀은 2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골밀도 향상을 위한 대체요법으로 캄슘‧마그네슘 복합제의 효능'이라는 연구 논문을 한국식품영양학회지에 발표했다고 밝혔다.김 교수팀은 2017년 11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1차 진료기관에 내원한 환자 중 척추와 대퇴골의 골밀도(BMD bone marrow density)에서 T-score가 -2.5 미만이거나 -1.0 < T-score < -2.5이면서 골절의 병력이 있거나 최근 골절이 발생한 경우에 칼슘‧마그네슘 복합제인 Ionized Cal/MagTM Complex를 경구로 투여한 60명의 골밀도가 저하된 성인들의 자료를 후향적으로 확인했다.연구의 1차 목적으로 Ionized Cal/MagTM Complex복용 전 후 대퇴골과 척추(L-spine., L1, 2, 3, 4, 5)의 T score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며 2차 목적으로 Ionized Cal/MagTM Complex 복용 전 후 T score에 영향을 주는 요인(나이, 체질량지수(BMI), 복용 기간, 복용한 칼슘의 누적 용량)들이 있는지 조사 했다. 또한 복합체를 섭취하는 중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가려움, 발진, 속쓰림, 소화불량, 변비, 요로결석 등)에 대해서도 확인했다.김 교수팀은 건강기능식품인 칼슘‧마그네슘 복합체 'Ionized Cal/MagTM Complex'의 복용(칼슘 254 g과 마그네슘 126 g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물 500 mL에 희석하여 섭취)이 골밀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다.연구결과, Ionized Cal/MagTM Complex를 평균 15개월을 복용했을 때 T-score의 평균값이 0.5 정도 유의하게 상향 조절됐으며 누적섭취용량(매일용량×복용기간)은 2nd Lumbar와 Femur neck에서 유의하게 골밀도를 향상 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누적된 칼슘 섭취용량은 9752 mg이었고 나이나 신체질량지수는 골밀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매일 일정 용량을 복용해도 발견된 부작용(가려움, 발진, 속쓰림, 소화불량, 변비, 요로결석)은 없었다. 또한 물에 녹여 칼슘 섭취량을 늘릴 수 있기에 기존의 칼슘 보충제와 차별되는 이점이 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김 교수는 "기존의 골다공증 치료제들을 장기간 복용할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과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했을 때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Ionized Cal/MagTM Complex는 골밀도를 높이는 dietary 보충제로써 큰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더 많은 연구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소재개발 시 활용할 수 있다"며 "골다공증 또는 골감소증 환자들에게 일상에서 쉽게 복용할 수 있는 보완대체요법으로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2022-11-24 14:23:28학술

남성 대상 데노수맙 효과 첫 확인…순응도가 '복병'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국내 골다공증 치료제 시장에서 데노수맙이 1위로 올라선 가운데 남성 골다공증에서도 효과적이라는 첫 코호트 연구 결과가 나왔다.그간 선행 연구가 여성을 대상으로 했거나 여성 결과를 인용했을 뿐 실제로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다는 점에서 남성의 투약 전략 수립에 활용될 전망이다.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내과 정재호 교수 등 연구진이 진행한 한국 남성에서의 데노수맙 투약 후 골밀도 변화 관찰 연구 결과가 내과학회지 7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골다공증 치료제로 최초로 승인된 생물학적 제제인 데노수맙은 고관절, 척추 및 비척추 골절의 위험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치료제다. 2012년 9월 FDA는 골다공증성 골절의 병력 또는 골절의 다중 위험 인자로 정의되는 골절 위험이 높은 골다공증 또는 치료 실패 또는 다른 약물에 대한 불내성에서 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치료제로 승인했다. 국내에서도 데노수맙은 2019년 4월 골다공증의 1차 치료제로 보험적용을 받았는데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골다공증 치료제 처방 1순위로 및 골다공증 치료의 전체 시장 점유율에서 30%를 차지하고 있다. 데노수맙 성분의 프롤리아남성 환자의 경우에만 2020년까지 데노수맙의 사용량이 거의 2배 가까이 증가해 시장 점유율 12.2%를 기록하고 있다.골다공증 관련 위험은 여성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됐지만 남성에 대한 데이터는 적기 때문에 남성 골다공증의 불가피한 과소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제에 대한 불명확성이 남아있었다.현재 남성의 골다공증 치료에 대해 비스포스포네이트(BP), 테리파라티드 및 데노수맙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임상 시험 데이터가 부족하고 현재 알려진 남성의 항골다공성 약물의 많은 효과가 여성에 대한 연구에서 파생됐다.데노수맙이 골밀도(BMD)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 한국 남성뿐만 아니라 아시아 남성에서도 검증되지 않았다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남성 골다공증 환자 중 이전에 약물 치료 경험이 없는 그룹과 이전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군으로 나눠 데노수맙 투약 후 골밀도 변화 및 약물순응도를 함께 평가했다.연구진은 데노수맙 치료를 받은 147명의 한국 남성 골다공증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초기 147명의 환자 중 79명이 데노수맙의 효능 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간주됐다. 54명의 환자는 약물에 대한 경험이 없었고 25명은 이전에 비스포스포네이트 요법을 받았다.요추, 대퇴 경부 및 전체 고관절의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X선 흡수계측법으로 변화를 측정했다. 치료 후 12개월의 추적 관찰 과정에서 60명의 환자가 사망했고 8명은 데이터 누락으로 제외됐다.분석 결과 54명의 약물 경험이 없는 환자에서 모든 측정 부위에서 골밀도(BMD)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됐다. 각각 요추 5.2% ± 3.7%, 대퇴 경부 2.3% ± 2.8%, 전체 엉덩이 1.9% ± 2.8의 골밀도 증가가 나타났다. 또 해면골 점수(TBS) 점수는 약물 경험이 없는 환자에서 0.5% ± 5.8% 증가했다.마찬가지로, 이전에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받은 25명의 환자에서 BMD 증가도 관찰됐다. 각각 요추 4.8% ± 3.5%, 대퇴 경부 1.4% ± 3.6%, 전체 엉덩이 0.8% ± 2.1%의 골밀도 증가가 관찰됐다.약물 중단이 필요한 심각한 약물 이상반응은 보고되지 않았다. 입원, 턱뼈 괴사, 골절 치유 합병증 또는 비정형 대퇴골 골절과 관련된 심각한 저칼슘혈증에 대한 보고 역시 없었다.골밀도 치료 효과는 안정적이었지만 복약순응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데노수맙의 세 번째 투여 일정에서 순응도는 56.8% 미만으로 나타났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에서 데노수맙의 12개월 순응도는 64~82% 범위로 추정됐다.추가적인 골밀도 약제 치료없이 데노수맙을 중단하면 골절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임상의는 데노수맙을 사용할 때 남성 골다공증 환자의 낮은 순응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진의 판단.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아시아인 골다공증 남성 환자에서 데노수맙이 약물 치료 경험이 없는 환자와 이전에 비스포스포네이트 치료를 받은 환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첫 번째 연구"라며 "골다공증이 있는 남성에서 12개월 동안 데노수맙 요법을 시행한 결과 모든 골격 부위에서 골밀도가 증가가 관찰됐다"고 설명했다.이어 "데노수맙 요법은 내약성과 효과가 좋았지만 데노수맙의 순응도는 예상보다 낮았다"며 "임상의는 남성을 대상으로 데노수맙을 투여할 때 순응도를 높이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2022-06-22 05:30:00학술

골다공증약 복용 땐 소염진통제 자제해야…"효과 저해"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s)가 골다공증약 비스포스포네이트의 효과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영국 멜란비 근골격 연구 센터 소속 장안 젱(Zhangan Zheng) 교수 등이 진행한 NSAIDs와 비스포스포네이트의 약효 상관성 연구 결과가 20일 미국골대사학회 공식 기관지(JBMR)에 게재됐다(doi.org/10.1002/jbmr.4548).염증반응을 완화시켜 소염, 진통, 해열작용을 하는 NSAIDs는 다양한 급성 및 만성 근골격계 질환이나 염증성 질환에 대해 흔히 처방된다.자료사지NSAIDs는 일반적으로 COX 효소를 통한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갖는데 프로스타글란딘 E2 프로스타글란딘 I2가 골격 리모델링에 관여한다는 점에 착안, 연구진은 NSAIDs 사용이 골다공증 약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에 착수했다.연구진은 무작위 임상시험(RCT)을 선별, 사후 분석하는 방식으로 가능성을 조사했다.총 5212명의 여성 중 1082명(21%)이 현재 NSAIDs를 투약한다고 답했다. 가장 많이 보고된 약물은 이부프로펜(n=357)과 디클로페낙(n=311)이었다.사용자들의 경우 NSAIDs 투약 평균 지속시간은 4년이었고 비사용군 대비 골관절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대한 보고 이력이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분석 결과  NSAIDs 사용은 3년 연구 기간 동안 골다공증 골절 위험의 유의한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HR 1.27). 비사용군에서도 골절 위험이 증가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HR 1.11).NSAIDs와 함께 1세대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인 클로드로네이트를 투약하는 여성에서의 골절 위험 감소는 5%에 그친 반면 비투약군에서의 위험 감소는 29%에 달했다.3년 동안 반복된 골다공증 검사(BMD) 수치 측정에서도 비슷한 영향이 관찰됐다.클로드로네이트를 복용한 환자 중 NSAIDs 투약군과 비투약군의 엉덩이 부분 BMD 수치는 2.75% 대 1.27%, 대퇴골 목 부분 수치는 3.06% 대 1.12%로 NSAIDs 투약군에서 수치 손실이 더 컸다.연구진은 "비투약군 대비 NSAIDs 투약군에서 골절 위험이 증가한 것은 NSAIDs가 골다공증 약제의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며 "다만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이런 현상이 발생했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2022-05-10 12:13:44학술

골흡수 억제제 양대 산맥 데노수맙vs졸레드론산…승자는?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골다공증 치료에 있어 현재 가장 강력한 골 흡수 억제제로 꼽히는 데노수맙과 졸레드론산을 직접 비교한 연구가 나와 주목된다.국내 환자들에게 어떤 약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첫 결론이 나온 셈. 결과적으로 데노수맙이 사실상 모든 지표에서 우위를 점하며 압승을 거뒀다.국내 골다공증 약제 중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데노수맙과 졸레드론산에 대한 비교 연구 결과가 나왔다.5일 대한의학회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에는 골 흡수 억제제 양대 산맥인 데노수맙과 졸레드론산을 비교한 대규모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doi.org/10.3346/jkms.2022.37.e68).데노수맙과 졸레드론산은 현재까지 개발된 약물 중 가장 강력한 골 흡수 억제제로 골다골증 치료에 있어 중요한 치료 옵션으로 꼽히고 있다.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를 늘리고 해면골 점수(Trabecular bone score, TBS)를 증가시키는 기전으로 골절 위험을 줄이는 것이 핵심.하지만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폐경 후 골다공증 여성에서 이 두 약물 중 어떤 약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직접 비교 연구는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고려대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박시영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두 약물에 대한 다양한 임상 지표를 비교하고 나선 것도 이러한 이유다.이에 따라 연구진은 새롭게 골다공증 진단을 받은 585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2017년 3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두 약물을 처방하며 비교 분석했다.데노수맙을 6개월 마다 60mg 피하 투여한 290명의 환자군과 1년에 한번 5mg 졸레드론산을 정맥 투여한 295명을 대상으로 2년간 추적 관찰한 것.결과적으로 거의 모든 지표에서 두 약물 중에서는 데노수맙이 압승을 거뒀다. 사실상 모든 지표에서 압도적 결과치를 보였기 때문이다.실제로 2년간 추적 조사 결과 데노수맙을 처방한 호나자는 요추 골밀도가 9.74±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졸레드론산은 6.05±0.9%에 불과했다.고관절 골밀도 또한 많은 차이를 보였다. 데노수맙군은 3.85±0.9%나 늘어났지만 졸레드론산은 3.14±0.4%에 그쳤기 때문이다.약물별 골밀도 및 해골면 점수 등에 대한 비교 결과다른 지표들도 마찬가지였다. 대퇴부 골밀도를 봐도 데노수맙은 5.22±0.8%나 효과를 보였지만 졸레드론산은  3.86±0.5%에 머물렀다.골다골증에 가장 큰 지표인 골밀도도 데노수맙이 우위를 점했고 해면골 점수 또한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대조군 별 2년 후 해면골 점수(Trabecular bone score, TBS)를 분석하자 데노수맙군은 2.51±0.5%에 달한 반면 졸레드론산은 0.12±0.2%에 그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마찬가지로 골표지자(C-terminal cross-linking telopeptide of type 1 collagen, CTX) 또한 데노수맙이 압도적 승기를 잡았다.데노수맙을 처방받은 환자는 0.193ng/ml가 감소해 졸레드론산 0.251ng/ml로 보다 유의하게 더 큰 감소세를 보였기 때문이다.연구진은 "두 약물에 대한 비교에서 골밀도, 해면골 점수, 골표지자 모두 데노수맙이 졸레드론산에 비해 분명한 우위를 보였다"고 설명했다.이어 "지금도 많은 임상 의사들이 고민하는 부분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골 흡수 억제제로 꼽히는 두 약물에 대한 실제적 처방 결과들을 분석한 첫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2022-04-06 05:10:00학술

스테로이드 투약 골다공증 환자엔 데노수맙 효과적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장기간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처방받는 골다공증 환자들에게는 데노수맙 치료가 알레드론산 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노수맙은 고위험 만성 스테로이드 사용자에서 치료 대안 및 1차 치료제로까지 고려될 수 있다는 뜻이다. 홍콩 준문병원(Tuen Mun) 소속 치츄목(Chi ChiuMok) 교수 등이 진행한 장기 스테로이드 처방 환자 대상 데노수맙, 알레드론산의 효과 비교 연구가 국제학술지 본(bone) 4월호에 게재됐다(doi.org/10.1016/j.bone.2021.115902). 자료사진 기존 연구에선 폐경 후 여성에서 데노수맙이 비스포스포네이트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줬지만 장기 스테로이드 사용자, 특히 아시아인의에 대한 효과 데이터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연구진은 이에 착안, 장기 프레드니솔론 치료(최소 1년간 2.5mg/일)를 받고 있는 139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모집했다. 연구진은 대상자 절반에 데노수맙 주사를 맞도록 했고(6개월간 60mg)했고 나머지 절반은 경구용 알렌드론산(주 70mg)을 맞도록 배정했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50세였고 평균 BMI는 23kg/미터제곱이었다. 연구를 시작할 때, 대상자들은 하루 평균 5.1mg 복용량으로 평균 107개월 동안 프레드니솔론을 복용하고 있었다. 대다수의 환자(59%)가 이전에 골다공증 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반면 나머지는 경구 비스포스포네이트를 복용하고 있었다. 분석 결과 투약 12개월후 데노수맙 치료군에서 요추 골밀도(BMD)는 +3.5 ± 2.5%, 엉덩이는 +0.9 ± 2.8%, 대퇴경부 +1.04 ± 4.1% 증가가 관찰됐다. 알렌드론산 투약군에서는 각각 +2.5 ± 2.9%, +1.6 ± 2.7%, + 1.5 ± 3.9% 증가가 관찰됐다. 엉덩이와 대퇴경부를 제외하고 요추에서 유의미한 골밀도 증가가 관찰됐다는 뜻. 골형성표지자검사 지표인 P1NP와 CTX의 하락폭은 알렌드론산 투약군 보다 데노수맙군에서 현저히 높았다. 연구진은 "만성 스테로이드 사용자에서는 데노수맙이 요추 BMD를 키우는 데 있어서 알레드론산보다 우수하다"며 "데노수맙은 고위험 만성 스테로이드 사용자에서 치료 대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2021-03-11 11:33:00학술

항체약 선두로 올라서...골다공증 지침 4년만에 대폭 개정

메디칼타임즈=원종혁 기자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잡은 '골다공증 치료가이드라인'이 4년만에 큰 변화를 맞았다.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다공증을 잡아내는 새로운 진단법으로 '골절위험도 예측프로그램(FRAX)'의 활용을 적극 추천한데 이어, 처방권에 진입한 이중작용 항체신약인 '로모소주맙'의 역할에 방점이 찍혔다. 더불어 고위험군과 초고위험 환자의 정의와 관리전략을 세부적으로 구분한데 나아가, 환자별 일차약제 선정 및 스위칭(약제전환) 전략, 휴약기에 대한 세부 권고사항을 추가한 것도 큰 변화로 풀이된다. 미국임상내분비학회(AACE)와 미국내분비학회(ACE)가 7월 공동으로 개정작업을 진행한 이번 가이드라인 변화에 핵심은, 고위험군 환자들의 분류와 골다공증 진단법, 그리고 약물 치료제 선택지를 세분화해 추천하고 있다는 점이다. 2016년 양학회가 공동지침을 발표한 이후, 골절 예측 진단법의 개발과 항체약물의 처방권 진입이 빨라지면서 진단과 치료 분야에 새로운 임상적 근거들을 대거 수용한데 따른다. 기존 폐경후 여성의 골다공증 치료와 비교해, 요추 및 대퇴 경부 또는 고관절 T스코어가 -2.5 이하인 경우와 취약성 골절 병력이 높은 환자, 높은 골절 위험도를 가진 환자들에서 약물 치료 전략을 추천한 것과 약물 투여전 이차성 골다공증 원인을 평가하고 칼슘 및 비타민D 결핍 교정에 대한 내용을 강조한 것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번 업데이트 작업에서 나타난 지침의 굵직한 변화들을 메디칼타임즈가 정리했다. 변화1. "골감소증 환자에 FRAX 활용 적극 권장" 먼저 가장 큰 변화는, 골감소증(Osteopenia) 환자에서 골다공증을 진단해내는데 골절위험도 예측프로그램(FRAX)의 역할을 거듭 강조했다는 대목이다. 지금껏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엔 골절 경험 없이 전통적으로 낮은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이하 BMD) 상태를 근거로 사용해 왔었다. 하지만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골감소증 환자에서 FRAX를 활용해 골절 위험도의 증가를 포착하는데 변화의 초점을 잡은 것으로 정리된다. 이와 관련, FRAX 지표는 NBHA(National Bone Health Alliance)가 골감소증환자에 주요한 골다공증 진단툴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 상황에서 2016년 가이드라인 개정 이후 이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됐던 상황으로 설명했다. 가이드라인 개정위원회는 "이번 2020년 가이드라인에서는 정확한 진단 분류에 집중했으며, 그 결과 골감소증환자의 경우엔 FRAX 지표에 의한 임계값이 충족될 때 적극적인 치료가 권장된다는데 중지를 모았다"고 강조했다. 변화2. 고위험군 및 초고위험군 구분, 1차약 선택지 차등 이어 두 번째 변화로는 골다공증 환자군을 고위험군(high risk)과 초고위험군(very high risk)으로 구분해 일차 치료제 선택에 변화를 꾀했다는 부분이다. 특히 초고위험군의 경우, 몇 가지 단서조항을 두어 치료가 강력하게 고려되는 환자군으로 따로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세부 사항을 보면, 초고위험군은 ▲지난 12개월 이내 최근 골절을 비롯한 골다공증 치료중 골절이 발생한 환자 ▲다발성 골절 ▲스테로이드 등 골격계 손상을 유발하는 약물 치료중 골절이 발생한 환자 ▲T스코어 -3.0 미만인 환자 ▲낙상위험이 높거나 낙상 사고 병력이 있는 환자 ▲FRAX 지표상 10년내 주요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이 30%를 초과했거나 고관절 골절이 4.5%를 넘긴 매우 높은 골절 가능성을 가진 환자 ▲알고리듬에서 다른 골절 위험을 가진 초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경우 등이 언급됐다. 더불어 고위험군으로는 ▲척추 또는 고관절의 취약성 골절을 가졌거나 ▲고관절 또는 척추에서 취약성 골절 병력이 있는 골감소증 또는 골량이 낮은 경우 ▲척추 및 대퇴경부, 전체 고관절의 3분의 1 직경의 T스코어가 -2.5 미만인 환자 ▲FRAX 지표상 10년내 주요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이 20%를 넘겼거나 고관절 골절 위험이 3%를 초과한 골감소증 환자 등이 정리됐다. 이에 따라 고위험군(골절 병력이 없는 경우)에서는 '프롤리아(데노수맙)'를 비롯한 '알렌드로네이트' '리세드로네이트' '졸렌드로네이트' 등을 권고하고 대체요법으로 '이반드로네이트'와 '랄록시펜' 등을 추천했다. 초고위험군(골절 병력 있는 경우)에는, '이베니티(로모소주맙)'를 비롯한 '아발로파라타이드' '테리파라타이드' '졸렌드로네이트' 및 대체요법으로 '알렌드로네이트'와 '리세드로네이트'를 권고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초고위험군에서는 매년 치료반응과 골절 위험을 재평가해 이베니티는 1년간 경구 또는 주사용 골흡수 억제제로의 후속치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프롤리아는 고위험군에 포함되지 않을때까지 지속 후 다른 골흡수 억제제로 전환할 수 있게 했다. 이외 아발로파라타이드나 테리파라타이드는 최대 2년 경구 또는 주사용 골흡수 억제제로 전환할 것을 추천했으며, 졸렌드로네이트는 치료반응이 안정적인 경우 6년간 치료지속 후 골소실 진행 또는 재골절 발생시 이베니티나 아발로파라타이드, 테리파라타이드 등의 다른 약제로 전환이 가능하다. 변화3. 초고위험군 역할 커진 항체약 '로모소주맙' 이중작용 주목 약물 치료와 관련해서는 새로운 항체 치료제로 '스클레로스틴(sclerostin)'을 직접 타깃하는 이중작용 항체약물인 '로모소주맙'의 치료적 지위가 한층 부각됐다. 해당 약물은 지난 2019년 미국FDA로부터 시판허가를 받은 신약으로, 골다공증 환자의 골밀도 증가와 골구조 개선에 뚜렷한 혜택을 가진다는데 등장 당시부터 주목을 받은 옵션이다. 허가의 근거가 된 두 건의 3상임상에서도, 기존 일차 약제인 알렌드로네이트나 위약과 비교해 방사선학적 척추 골절을 확연하게 개선시키며 초고위험군이나 기존 테리파라타이드 및 아발로파라타이드 등의 치료에도 불구 혜택이 떨어지는 환자군에는 최우선 고려약제로 급부상했다. 다만, 시판허가 당시 불거진 심혈관질환 과거력을 가진 환자에서는 처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그대로 유지됐다. 알렌트로네이트와 비교해 심각한 심혈관사건 발생의 위험이 높았다는 얘기인데, 이를 고려해 심혈관 사건 고위험군이나 최근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을 경험한 환자에서는 처방을 주의하라는 돌출주의 경고문이 따라붙은 상황이다. 개정위는 "해당 과거력을 지닌 환자에서는 투약에 주의가 필요하겠지만, 기존 약제들인 테리파라타이드나 아발로파라타이드 등의 경우에도 골육종(osteosarcoma) 등의 안전성 문제가 지적된 것도 고려해서 봐야할 부분"이라고 짚었다. 변화4. 약제별 스위칭 전략 "고위험군 아닌 환자 휴약기 가능" 이밖에도 골다공증 치료제 휴약기와 스위칭(약제전환) 전략에 대한 권고사항도 새롭게 정리됐다. 기본적으로 2016년 가이드라인에서는 치료중 휴약기에 대한 권고는 없었으나, 이번 업데이트 지침에서는 더이상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가 아닌 일부 환자에서는 약물 전환을 고려할 수 있다는 의견을 꺼낸 것이다. 이는 앞서 언급한 미국FDA 등이 테리파라타이드 및 아발로파라타이드의 사용을 2년, 로모소주맙의 사용을 1년으로 제한한 것과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다만 가이드라인에서는 "아발로파라타이드, 로모소주맙 또는 테리파라타이드 등 골형성 촉진제(anabolic agent)를 중단할 경우에는 데노수맙이나 비스포스포네이트 등과 같은 골흡수억제제로 약물을 전환해 골밀도 손실 예방 및 골절 개선을 적극 고려해야만 한다"고 밝혔다. 이어 "데노수맙을 중단할시 부정적인 영향이 두드러진다"며 "임상연구들을 근거로 했을때 데노수맙을 2년 또는 8년 후에 중단했을시 골밀도가 급격히 감소하고 척추 골절로부터의 보호효과가 신속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관찰된다"고 덧붙였다.
2020-07-28 05:45:58학술

골다공증에 'CT 활용' 가능성...BMD 낮으면 골절 2.6배 증가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컴퓨터단층촬영(CT)이 골다공증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유닛웨스트 병원 순환기내과 조셉 테르킬드센(Josephine Therkildsen) 교수 등 연구진이 진행한 심장 CT-골다공증 연관성 연구가 국제학술지 방사선학(Radiology)에 14일 게재됐다(doi.org/10.1148/radiol.2020192706). 연구에 따르면 흉부와 척추뼈 두 곳의 미네랄 밀도(BMD) 측정을 통해 골절율과 잠재적 골다공증 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 연구진은 2014년 9월과 2016년 3월 사이에 심장 CT를 받은 잠재적 관상 동맥 질환자 1487명을 대상으로 관찰 연구를 시작했다. 평균 나이는 57세였다. 연구를 위해 세곳의 흉부와 척추의 BMD 용적을 측정했다. 참가자 중 695명은 정상 BMD(120mg/cm³ 초과)을, 613명은 낮은 BMD(80~120mg/cm³)을, 179명은 매우 낮은 BMD(80mg/cm³ 미만)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총 80명의 환자(5.4%)에게서 골절이 발생했다. 초기 분석에서 BMD가 매우 낮은 참가자는 골절 위험이 2.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관절염 관련 골절 위험은 8.1배로 더 높았다. 연령과 성별을 보정 후에는 BMD와 골절 위험은 2.1배로, 골관절염 관련 골절은 4배로 나타났다. 이번 결과는 CT로 BMD 용적률을 측정하는 것만으로 향후 골다공증으로 위한 골절 위험을 상당한 수준으로 예측할 수 있다는 뜻이다. 연구진은 "실질적으로 CT가 정식 골다공증 검사를 대체할 것으로 보진 않는다"며 "그럼에도 많은 환자들이 사전에 검사를 받지 못해 골다공증에 걸린다는 점을 감안하면 CT가 골다공증 진단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이어 "CT 스캔에서 일부 수치가 낮게 나온다면 의료진이 이를 골절 위험 예측 지표로 삼을 수 있다"며 "이후 정밀 진단을 통해 치료 기회를 넓힐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20-07-17 11:30:15학술

뼈에 좋다는 비타민D, "고용량 투약은 오히려 독"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강한 뼈 형성에 필수적인 비타민 D와 관련 오히려 고용량에서 골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골다공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추천되는 일일 800IU 이하의 용량이 고용량인 4000~10,000IU 대비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뜻이다. 캐나다 캘거리의대 뼈관절 건강 연구소가 진행한 고용량 비타민 D와 골밀도/강도와의 상관성 연구가 JAMA에 27일 게재됐다(doi:10.1001/jama.2019.11889). 비타민 D는 강한 뼈에 필수적인데 캐나다의 경우 일일 비타민 D 섭취량은 70 세까지 600 IU, 그 후 최대 800 IU을 권장한다. 다만 이런 권장 사항은 비타민 D 결핍으로 인한 뼈 질환 예방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최적의 복용량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전문가들이 지적하듯 더 많은 비타민 D를 섭취하는 것이 건강을 향상시키는 지 확실하지 않다는 뜻이다. 캘거리의대 연구진은 55~70 세의 골다공증이 없는 311명을 대상으로 3년동안 이중맹검 무작위 임상실험을 했다. 연구진은 대상자들을 일일 400 IU(N=109), 4000 IU(N=100), 10,000 IU(N=102)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눠 3 년간 투여했고, 칼슘 섭취량은 하루 1200mg 미만을 제공했다. 평가 목표는 반경 및 경골에서 뼈가 약해진 정도인 골밀도를 검사하는 골밀도 검사(BMD)였으며, 고해상도 주변 분석, 정량적 단층 촬영 및 반경 및 경골에서의 골 강도로 평가했다. BMD는 약간의 뼈에서 칼슘과 다른 미네랄의 농도로부터 계산되는데 BMD가 높을수록 골절 위험이 감소하지만 BMD는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한다. 연구 결과를 보면 400 IU, 4000 IU 및 10,000 IU 그룹에서 BMD는 경골에서 각각 1.4%, 2.6% 및 3.6% 감소했다. 세 그룹 모두 뼈의 강도는 크게 감소하지 않았지만 더 많은 양의 비타민 D를 복용한 군에서 뼈 손실이 더 높게 나타난 것. 연구진은 고용량의 비타민 D가 다른 부작용을 유발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소변에 과도한 칼슘이 섞이는 고칼슘뇨증은 고칼슘뇨증은 신장 결석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연구진은 고용량인 4000 IU 및 10,000 IU 복용군에서 고칼슘뇨증이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87명의 참가자가 전체적으로 고칼슘뇨증을 보였는데 발생률은 첫 번째 그룹에서 17%, 두 번째 그룹에서 22%, 세 번째 그룹에서 31%였다. 연구진은 "권장 일일 복용량보다 많은 복용량으로 비타민 D를 복용하는 것이 실제로 골밀도를 높이거나 뼈 강도를 높이는 데 유용하지 않다"며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고용량 투약은 골 밀도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2019-09-10 12:00:04학술

골다공증 항체신약 2종 같이 쓰면 효과 'UP'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골다공증 신약인 프롤리아(denosumab, 암젠)와 포스테오(Teriparatide, 릴리)가 병용 요법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증명했다. 표준 요법보다 월등하게 골밀도를 향상시킨 것. 또한 부작용도 크지 않다는 점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하버드의대 Joy N Tsai 교수팀은 2014년 10월부터 2016년 6월까지 프롤리아와 포스테오 병용 요법에 대한 무작위 대조 4상 임상 시험을 실시하고 현지시각으로 22일 란셋(LANCET)에 게재했다(doi.org/10.1016/S2213-8587(19)30255-4). 연구진은 골다공증 환자에게 프롤리아와 포스테오 20μg, 40μg,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해 총 15개월동안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프롤리아와 포스테오 40μg를 처방받은 그룹은 평균 척추 골밀도(spine bone mineral density, BMD)가 17.5%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프롤리아와 포스테오 20μg를 처방받은 환자들도 평균 BMD가 9.5%나 증가했다. 다른 부위의 골밀도도 마찬가지 결과를 보였다. 대퇴부 골밀도를 분석한 결과 프롤리아와 포스테오 40μg를 병용한 그룹은 평균 6.8% 골밀도가 향상됐고 20μg군도 4.3% 올라가는 결과가 나왔다. 고관절에 대한 골밀도도 마찬가지로 40μg 그룹은 평균 골밀도가 6.8% 올라갔고 20μg를 처방받은 환자들도 3.9%가 증가했다. 이에 반해 부작용은 매우 적었다. 부작용을 보인 환자는 20μg 그룹에서 77%, 40μg 그룹에서 78%나 됐지만 대부분이 피로나 메스꺼움, 가벼운 경련 등으로 심각한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연구진은 프롤리아와 포스테오 병용 요법이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대두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구진은 "병용 요법이 표준 요법보다 척추와 고관절 등 대다수 부위의 골밀도를 크게 향상시켰다"며 "특히 골다공증의 완치 수준까지 골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고용량 병용 요법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2019-08-23 11:30:11학술

국민청원까지 간 한약재 안전성…"위해 논란은 기우"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국민청원 안전검사 실시 대상에 올랐던 한약재를 조사한 결과 벤조피렌의 인체 위해 우려가 낮거나 무시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5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한약재 벤조피렌에 대한 국민청원 안전검사를 실시한 결과, 벤조피렌은 인체 위해 우려가 낮거나 무시할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식약처는 그간 벤조피렌 검출량이 높았던 한약재 등을 대상으로, '국민청원안전검사 심의위원회'를 거쳐 17종을 선정해 검사했다. 벤조피렌(Benzo(a)pyrene, C20H12)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족 물질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이 불완전 연소돼 생성되는 물질로 한약재를 재배하는 과정에서 노출되거나 건조・가공 공정 중에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료제공: 식약처 국내 유통 중인 고본, 대황, 방기, 숙지황, 승마, 여정실, 오매, 원지, 자화지정, 죽여, 지구자, 지황, 하엽, 해방풍, 황련, 황정, 희렴까지 한약재 17종(274품목)이 대상 품목에 올랐다. 조사 결과 17종 한약재의 벤조피렌 양은 평균 1.2㎍/kg이었으며, 관리기준(5㎍/kg)이 설정된 지황(26품목), 숙지황(23품목)은 모두 기준 이내로 적합했다. 또한 벤조피렌 검출량과 복용량, 복용기간, 복용형태(탕제, 환제) 등을 고려한 벤조피렌 노출정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위해 우려는 낮거나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위해평가는 벤조피렌에 의해 독성이 관찰되지 않는 기준값(BMD)을 한약재 복용에 따른 인체노출량으로 나눈 값(노출안전역)을 활용해 분석했다. 위해평가 결과, 노출안전역은 105∼108으로, 104 이상인 경우 위해 우려 낮은 것으로 판단(식품의약품안전처 위해평가지침서, EFSA(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한다. 식약처는 한약재 중 벤조피렌 양을 지속적으로 낮추기 위해 필요한 품목을 선별해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체계적 모니터링을 추진할 계획이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국민청원 안전검사제를 통해 국민의 눈높이에서 식품·의약품을 안전하게 관리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19-08-05 12:00:47제약·바이오

한국릴리-한국로슈진단, 골다공증 표준검사 MOU

메디칼타임즈=원종혁 기자 한국릴리와 한국로슈진단이 세계 골다공증의 날을 맞아 올바른 골다공증 치료 및 관리를 위한 골형성표지자검사 'P1NP 테스트' 인식 개선 상호업무협약(이하 MOU)을 맺었다. 17일 한국로슈진단에서 체결한 이번 MOU로 릴리와 로슈진단은 적극적인 골다공증 치료 및 관리 방안을 제시했다. 골량을 반영하는 골밀도(BMD) 검사에서 한 걸음 나아가 뼈의 질을 평가해 골소실을 예측하고 치료제의 반응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P1NP 테스트를 국제학회에서 권고한 것처럼 골다공증 표준검사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 현재 골다공증 환자에 많이 쓰이는 골밀도 검사는 뼈의 밀도만 확인되어 치료제 변경, 중단 등을 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P1NP 테스트는 혈청 및 혈장에서 뼈 형성과 관련이 있는 단백질 P1NP(total procollagen type 1 amino-terminal propeptide) 수치를 측정하는 골표지자 혈액검사로, 골다공증치료제 반응 예측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국제골다공증재단(IOF), 국제임상화학회(IFCC)에서도 골다공증 치료 모니터링과 골절 위험도 예측을 위해 P1NP 테스트를 표준검사로 권고하고 있다. 한국릴리 폴 헨리 휴버스 사장은 "한국의 골다공증 환자는 2017년 90만명에 달하며 향후 고령 인구의 증가로 환자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릴리는 P1NP 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골동화작용으로 골다공증성 골절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세계 최초의 골형성 촉진제, 포스테오를 공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MOU 체결을 통해 P1NP 테스트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의료진들의 골다공증 치료와 관리 강화에 기여함으로써 골다공증성 골절로 인한 환자들의 삶의 질 저하와 사망률 증가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한국로슈진단 리처드 유 대표이사는 "골다공증 환자는 골다골증성 골절과 같은 합병증을 막기 위해 골다공증 치료제의 사용 시 신속한 약물치료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치료 시작 3개월부터 약물치료 반응의 확인이 가능한 P1NP 테스트에 대한 의료적 요구도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로슈진단의 P1NP 테스트는 지난 10월 1일부터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받아 골다공증 환자의 접근성이 높아졌으며 이번 MOU를 통해 국제학회에서 권고한 것처럼 골다공증 표준검사로 새롭게 자리매김하여 의료진들이 약물치료 결정부터 치료 반응을 적기에 모니터링하여 골다공증 환자들이 건강한 삶을 지키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2018-10-22 09:51:08제약·바이오

개원의들이 분노하는 불합리한 삭감 조치 내용은?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일선 병의원에서 환자를 진료하는 개원의들을 분노하게 하는 불합리한 심사기준, 즉 삭감 내용은 무엇일까? 한 지역의사회가 불합리한 급여기준에 대해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에 대한 세부 논의를 거쳐 이를 대외에 공개해 주목된다. 전라남도의사회는 최근 실제 진료현장에서 행해지는 불합리한 보험급여기준 사례를 취합하고 세부 논의를 거쳐 대한의사협회에 이를 전달했다. 전남의사회 이필수 회장은 "정부가 추진하려는 보장성 강화 계획 이전에 현재 건가보험 제도 안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과제"라며 "환자 치료에 제약으로 작용하는 불합리한 급여기준을 개선해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그렇다면 일선 의사들은 어떠한 부분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급여기준에 불만을 가지고 있을까. 우선 국내 급여기준이 교과서나 진료지침과 상이한 경우가 있었다. 진료지침에 의해 소변검사 10종 검사 후 청구시 7종으로 인정되나 비뇨기과 전문의외에 타과 전문의가 검사를 진행했을 경우 청구시에 삭감되는 문제가 꼽혔다. 약제나 재료의 처방기간이나 인정횟수가 제한적이라 환자 진료에 문제가 있는 경우도 많았다. 우선 상병명과 초재진에 따라 물리치료 내원일 횟수가 제한되고 해당일의 진료비가 삭감되는 문제가 지적됐고 외래진료시 물리치료와 TPI, 건초내 주사, 관절강내 주사 등이 동시에 인정이 되지 않는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또한 소염진통주사제의 경우 환자의 통증과 관계없이 월 3회 이상 주사시 무조건 삭감이 되는 것도 의학적, 현실적 타당성이 없다는 지적을 받았다. 같은 날 여러부위에 드레싱을 하거나 창상 봉합술, 건 봉합술 수술 등을 금지한 것도 의학적 판단에 어긋난다는 의견이다. 부위를 7개로 구분해 7분의 1 범위내 치료시 처치와 수술시간, 재료가 같은데도 동일부위나 동일 절개라 해서 0.5만 인정하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누가봐도 불합리하고 잘못된 급여기준으로 수많은 개원의들의 원성을 받았던 항목도 있었다. 상병 누락시 약제비 삭감이 이뤄지는 경우와 원외처방 약제비에 상계 결정 후 환수하는 기준이다. 내과질환 검사시 검사 하나하나마다 질병 코드가 들어가지 않으면 삭감이 되면서 필요없는 질병코드를 넣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해 심평원 질병 통계의 신뢰성이 추락하고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청구시 일차 전산심사로 인해 모든 진료행위에 하나라도 상병이 누락되면 획일적으로 삭감되면서 오히려 환자의 진료에 시간을 쏟기 보다는 청구 내용 누락에 집중하는 역전현상이 일어난다는 주장도 많았다. 1주에 한번 맞는 히루안 주사나 1년에 1회인 골다공증 BMD검사도 기한이 하루라도 미달시에 무차별 삭감되는 것도 비판이 많았다. 적어도 최소 15일이나 30일간 여유 인정기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필수 회장은 "아무쪼록 이같은 불합리한 급여기준의 변경이 시급히 개선되길 바란다"며 "전남의사회는 의협과 더불어 불합리한 급여기준 개선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8-06-16 06:00:58병·의원

중증 골다공증에 골형성제 단기 사용효과 최초 입증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중증 골다공증에 주사치료제(골형성제)를 단기간 사용해도 척추 골밀도 향상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골다공증 치료에 가장 강력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받는 골형성제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고비용과 주사제라는 불편함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때문에 실제 임상에서 치료 효과를 확신하면서도 확실한 근거 없이 3개월, 6개월 등으로 단기간 치료가 시행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임상에서 주사치료제를 사용할 때 겪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단기간 치료 효과를 입증, 치료에 있어서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경희대병원 정형외과 강경중 교수 연구팀은 중증 골다공증에 단기간 주사치료를 시행하고 골밀도(BMD) 변화를 분석해, 척추의 골밀도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중증 골다공증 환자 116명(남성 8명, 여성 106명)을 대상으로 12개월 이하로 주사치료를 시행, 골밀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척추의 골밀도가 치료 후 평균 8.1% 로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골흡수억제제 사용한 환자들의 평균 골밀도 증가 수준인 4.3% 보다 훨씬 높은 증가율이다. 주사치료제의 평균 치료 기간은 3.5개월로 기존에 권장되는 치료 기간 1년 반~2년에 비해 매우 짧지만 척추의 골밀도 향상에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중증 골다공증에 새로운 치료 근거를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강경중 교수는 "임상에서 주사치료제의 효과에 대한 확신이 있음에도, 실제 연구 결과로 제시되는 근거가 없어 중증 골다공증 환자 치료에 곤란함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연구 결과로 주사치료제의 치료 근거를 마련하고 새로운 치료 지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초고령화 사회의 진입을 앞둔 상황에서, 골다공증은 고혈압, 당뇨와 같이 적극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해야 하는 질환 중 하나다. 특히 중증 골다공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골다공증 치료로는 효과가 떨어지는 데다 다발성 골절 등 심각한 합병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다 심각한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데 골다공증이 심각한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 결과도 좋지 않고 합병증 가능성도 높아진다. 강경중 교수는 "척추 압박골절이 생긴 환자의 1년 내 사망률은 10%에 달하고 중증 골다공증의 경우 그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며 "특히 골다공증은 고령일수록 유병률이 올라가고, 많은 경우에서 다발성 골절과 같은 합병증 위험에 노출된다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60대 이상에서 크게 늘어나는 골다공증으로 인해 앞으로 사회·경제적 부담감이 상당할 것"이라며 "이번 연구에 사용된 골형성제는 합병증 위험이 높은 중증 골다공증 환자에게 예방적 치료는 물론이고 척추나 고관절 수술 이후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한 중요한 치료방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15-11-11 09:11:00병·의원
  • 1
  • 2
  • 3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